李 대통령 "예측 가능했지만 대비책 없었다…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

이형진 기자

magicbullet@alphabiz.co.kr | 2025-09-28 19:53:36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형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송구하다"며 공식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백업 시스템조차 부재했던 점을 강하게 질타하며 과거 유사 사례 이후에도 안일하게 대처한 것이 아닌지 철저한 조사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한 자리에서 "이번 화재 때문에 국민께서 큰 불편과 불안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추석을 앞두고 우편·택배·금융 이용이 많아지는 만큼 관계 부처에서는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재가동에 총력을 기울여달라"며 "특히 취약 계층 지원, 여권 발급 등 중요 민생 시스템은 밤을 새워서라도 최대한 신속하게 복원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어 "정부의 대처와 복구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처 방안을 만들어 국민에게 적극 안내하라"며 "전산 시스템의 문제로 납세·계약 등 행정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국민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사태가 2023년 발생한 대규모 전산망 장애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하며 강하게 질책했다. 그는 "2년이 지나도록 핵심 국가 전산망 보호를 게을리해 막심한 장애를 초래한 것 아닌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요한 기간망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2중 운영 체계가 없었다는 점에 대해 "놀랍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3시간 안에 복구할 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는데, 3시간은커녕 이틀이 되도록 복구가 안 되지 않느냐"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예측 가능한 일이 벌어졌고, 대비책은 없었다. 대비책이 작동 안 한 게 아니라 아예 없었다"며 "이게 이해가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화재가 국가 행정망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도록 중장기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보안·안전 문제를 원점에서부터 철저히 점검할 것을 지시했다.

앞서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무정전 전원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작업 중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정부24,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 등 주요 행정 서비스가 마비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총 647개 업무시스템 중 96개 시스템이 직접 피해를 받았으며, 화재는 27일 오후 6시경 완전 진화됐다.

정부는 28일부터 네트워크 장비 복구 작업을 통해 중단된 551개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