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 2023-03-29 18:34:18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박정호 SK하이닉스[000660] 대표이사 부회장은 29일 "인공지능(AI)과 챗봇 등 신규 수요가 확대되면 올해 DDR5가 명실상부한 주력 제품 포트폴리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현재 서버 시장에서 고성능 고용량 메모리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부회장은 "최근 화제가 된 AI 챗봇 챗GPT 동작에는 고성능 컴퓨팅뿐 아니라 고속 고용량 메모리가 필요하다"며 "실제로 서비스에 우리 회사의 HBM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0년 이상 지속해서 HBM 기술을 개발해온 준비 과정 끝에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해 경쟁사를 압도하는 점유율을 확보했다"며 "유수의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들이 먼저 찾아와 구매할 정도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설비투자(CAPEX) 지출은 전년도 19조원 정도에서 올해는 50% 이상절감된 투자를 계획한다"며 "운영비용(OPEX)도 모든 비용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연평균 10% 이상 성장한 OPEX를 올해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는 환경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급 측면에서는 작년부터 이어진 메모리 업체 투자 생산 축소에 따른 공급량 축소 효과가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고객들 재고도 점차 소진되고 있어 점차 정상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 업황 개선 요인은 있지만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인수합병(M&A) 등을 보면 거시경제가 예기치 못한 이벤트로 인해 전체적인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공존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이런 불확실성 높은 경영환경에 맞춰 유연한 대응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에 맞춰서 우리 회사의 양산 등에 대한 속도 조절을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경영진은 판단한다"고 전했다.
박 부회장은 최근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촉발한 지정학 리스크에 대해서는 "한 회사가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각국 정부와 고객 니즈에 반하지 않으면서 최적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매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과 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도 반도체 밸류체인 지원 정책을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며 "현재 상황을 위기로만 인식하지 않고 글로벌로 성장할 기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