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금융, 보이스피싱 예방 위해 ‘정보공유’ 구축

김교식 기자

ntaro@alphabiz.co.kr | 2024-04-05 18:32:17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민생침해 금융범죄 대응협력 강화를 위한 통신-금융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통신 당국이 보이스피싱 등 심각한 민생침해 금융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

정보공유체계를 구축해 신종 사기수법 및 관련 피해 사례를 신속하게 공유하는 것이 핵심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통신협회는 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민생침해 금융범죄 대응·협력 강화를 위한 금융·통신부문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금융·통신 당국은 보이스피싱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 대응을 위해 필요한 금융·통신 부문의 제도개선 사항을 함께 발굴해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보이스피싱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통신업계의 건의사항을 상호 전달해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제도 개선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통신당국과 금융당국 간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해 신종 사기 수법과 관련 피해 사례를 기관끼리 공유하고 이를 통신회사, 금융회사에도 알릴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가 금융회사 사칭 신종 문자를 인지하면 과기정통부가 금융위·금감원에 해당 사실을 알린다.

금융위·금감원은 금융업계에 알린 뒤 필요시 소비자도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경보 조치를 요구한다.

반대로 금융권에서 신종 또는 최근 성행 사기 수법을 알아내면 금융위·금감원이 과기정통부에 해당 사실을 알려 통신사가 통신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의 사항을 알릴 수도 있다.

이처럼 정부는 부처 간 상호 정보 공유와 함께 통신사·금융권 간 민간 핫라인 구축도 병행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아울러 금융·통신 당국은 금융·통신업계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 피해예방 공동 홍보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금융·통신 당국은 이번 업무협약이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실무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세부 과제별 이행계획을 마련한 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