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나 기자
rosa3311@alphabiz.co.kr | 2023-08-02 18:00:23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금융당국이 모든 은행에 PF 대출 긴급 점검을 지시했다.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약 700억원 횡령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BNK경남은행에서 500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횡령 사고가 발생하면서 특단의 조치에 나선 것.
2일 금융감독원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등 모든 은행에 PF 자금 관리 실태에 대해 긴급 점검을 지시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번 사고를 개인의 일탈을 넘어 경남은행 조직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결과라고 보고 있다. 이에 내부통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의무가 있는 임직원 등에 대한 책임까지 묻겠다는 방침이다.
BNK경남은행은 지난달 20일 투자금융부서에서 근무하는 사고자 A씨에 대한 자체 감사를 진행한 결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상환자금 77억 9000만원의 횡령 혐의를 포착해 이를 금감원에 보고했다.
이튿날 금감원은 긴급 현장점검에 착수했고 지난 1일 기준 484억원의 추가 횡령 혐의가 있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금감원 조사·점검 결과 A씨는 지난 2007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약 15년간 부동산 PF 업무를 담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A씨는 이 기간 해당 업무를 담당하면서 가족 명의 계좌로 대출 자금을 임의로 이체하거나 대출서류를 위조하는 등 전형적인 횡령 수법을 동원했다.
현재 금감원은 서울 소재 경남은행 투자금융부서에 검사반을 투입해 사고 경위와 추가 횡령사고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특히 사고자 관련 대출을 포함해 경남은행의 PF 대출 취급과 자금 입출금 현황을 전수 점검할 계획이다.
앞서 금감원은 경남은행에 대한 검사에서 PF 문제를 지적하며 지난 4월 말에 경영유의 사항 16건과 개선 사항 30건을 통보한 바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