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식 기자
ntaro@alphabiz.co.kr | 2025-09-12 17:58:05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정부 조직개편안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금감원 노조가 12일 첫 공식 면담을 가졌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평행선을 그었다.
12일 금감원 노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이 원장과 정보섭 노조위원장 직무대행, 윤태완 비상대책위원장이 금감원 본원에서 면담했다.
노조는 이 자리에서 금융소비자보호원 분리 철회와 공공기관 지정 철회를 요구했다. 정부는 금감원 내부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소원으로 분리·신설하고 기존 금감원과 함께 두 조직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그간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원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원장 이하 경영진은 깊이 공감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조직 분리 비효율성, 공공기관 지정에 따른 독립성 및 중립성 약화 관련 직원들의 우려에 대해서도 엄중하게 생각한다"며 "향후 세부 운영방안 설계를 위한 관계기관 논의 및 입법과정 등에서 조합원 및 직원들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면담 후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소원 분리 철회, 공공기관 지정 철회 투쟁을 확대하고 다음 주 중 전 직원이 참여하는 국회 앞 집회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금감원과 금소원으로 분리되면 가장 큰 피해자는 금융소비자"라며 "민원 접수 지연, 업무 중복과 공백 등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 지정에 대해서는 "금감원은 1999년 IMF 구제금융 당시 금융감독기구의 독립 필요성에 따라 통합 설립됐다"며 "공공기관 지정 시 정부가 예산·인사·경영평가 등에 개입하면 감독기구 독립성이 훼손되고 관치금융이 강화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직원들은 지난 10일부터 사흘째 출근길 시위를 벌였다. 검은 옷을 입은 직원 700여 명이 금감원 로비에 모여 '금소원 분리 반대', '공공기관 지정 반대' 등의 구호를 외쳤다.
노조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총파업 투표 안건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이 총파업에 나서게 되면 1999년 설립 후 26년 만에 처음이다.
앞서 정부와 여당은 지난 7일 고위당정협의회를 거쳐 금융위원회를 금융감독위원회로 재편하고 금감위 산하에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두는 내용의 조직개편 방안을 확정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