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사태 후폭풍"…금융위, 23일 전 금융권 CISO 100여명 소집

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09-22 18:02:40

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정부가 롯데카드 정보유출 등 최근 잇따르는 금융권 해킹 사고에 대응해 '해킹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범부처 차원의 정보보호 체계 전면 재정비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23일 은행, 카드, 증권사 등 전 금융권의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100여명을 긴급 소집해 보안 관리 강화를 주문할 예정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현안 점검 회의에서 "해킹과의 전쟁에 임한다는 각오로 모든 의혹을 해소하고 통신 및 금융권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기업의 신고가 있어야만 조사할 수 있었던 상황을 개선해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고,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도 한층 강화해 책임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23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릴 간담회에서는 철저한 보안 관리 당부와 함께 CISO의 권한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297만명 규모의 고객 정보 유출 사고 이후 마련됐다. 금융당국과 금융보안원 조사 결과 지난달 14일부터 27일까지 해커가 온라인 결제 서버에 침입해 200GB 규모의 데이터를 반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금융권에서는 지난 7월 SGI서울보증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전세보증 업무가 사흘간 중단됐고, 8월에는 웰컴금융그룹이 해킹 피해를 보는 등 사이버 침해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김 총리는 "통신보안과 금융보안은 가시적인 이익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통신사와 금융회사의 가장 기본적인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징벌적 과징금 도입을 포함한 제도 개선에 착수했으며, 소비자가 금융사별 보안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관련 공시를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시스템 복구와 소비자 구제가 이뤄지도록 전 금융권의 대응 매뉴얼 고도화도 추진한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지난 19일 브리핑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금융권 침해사고를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즉시 착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