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은행들에 기업신용위험 수시평가 확대 주문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 2023-03-30 17:40:54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금융감독원이 채권은행이 거래기업의 취약부문에 대한 선제적 평가를 단행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기업 신용위험 수시평가도 확대한다.

금감원은 30일 은행 신용위험평가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3년 기업 신용위험평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추진 방향을 밝혔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부실 징후 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관련 법규에 따라 채권은행은 거래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필요한 사후 관리를 해야 한다.

기업들은 A등급(정상 영업 가능), B등급(부실징후 가능성), C등급(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높음), D등급(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낮음) 등 4개 등급으로 나뉜다. 평가 등급별로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필요한 사후 조치를 받는다.
 

기업 신용위험평가 개요. (사진=금융감독원)

 

금감원은 “올해 고금리, 고물가, 경기침체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진 데 따라 기업 신용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거래 기업을 가장 잘 아는 은행이 엄정한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기업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다양한 대응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 추진방향으로 ▲취약 부문에 대한 선제적 평가 ▲업종별 특성 등을 반영한 정확한 평가 ▲기업 상황에 맞는 다양한 대응 노력 등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우선 고금리 상황에서 기업 금융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부실이 현재화되기 전에 선제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거래기업에 대한 수시평가를 확대한다.

또 과거 수주실적이 수년에 걸쳐 기업 실적에 반영되는 일부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신용위험평가 지표를 정교화한다. 이때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나타난 기업 실적 악화 추세도 반영해 평가하기로 했다.

신용위험평가 결과 경영정상화 가능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신규자금 공급과 이자 감면 등을 빠르게 제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유관기관의 지원 프로그램도 안내, 추천할 계획이다.

다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한 회생절차를 통해 신용리스크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신용위험평가는 부실이 현재화된 기업에 대한 사후 조치뿐 아니라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 등에 대한 선제적 지원도 병행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