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 2025-05-12 17:33:33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롯데손해보험이 5년 전 발행한 9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대한 조기상환, 즉 콜옵션 추진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면서 채권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600억원이 넘는 채권을 보유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손보가 2020년 5월 발행한 8회 후순위채의 개인 보유 잔고는 600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머지 채권은 법인, 증권사, 종금사 등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롯데손보의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 여부를 두고 투자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롯데손보는 콜옵션 강행 의지를 밝혔으나, 금융당국은 재무건전성 요건 미비를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에 롯데손보는 "당국의 입장을 존중하며 투자자 보호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한 발 물러섰습니다. 금융당국이 이례적으로 브리핑을 통해 "롯데손보의 콜옵션 강행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입니다. 후순위채 콜옵션 상환 실무를 담당하는 예탁결제원 역시 '불가' 방침을 밝혔습니다.
금융권에서는 롯데손보 후순위채 대부분을 개인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만큼, 조기상환에 차질이 생길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후순위채 만기는 10년이지만, 콜옵션은 5년 뒤 행사가 가능하다"며 "시장에선 사실상 5년 만기 채권으로 거래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이번 사안이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이슈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개인 투자자 피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관련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가 이루어졌다면 불완전판매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추후 검사 등을 통해 불완전판매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롯데손보가 콜옵션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증자 또는 차환 발행을 추진해야 합니다. 그러나 최대 주주가 사모펀드(JKL파트너스)라는 점 때문에 시장에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사모 방식으로 후순위채 발행을 추진하더라도 시장에서 원활하게 소화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평가입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이달 중 롯데손보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평가 결과에 따라 롯데손보가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롯데손보에 대한 정기검사와 올해 수시검사를 통해 자본적정성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습니다. 경영실태평가 결과 자본적정성 부문에서 4등급 이하를 받을 경우 경영개선권고 대상이 됩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