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나 기자
rosa3311@alphabiz.co.kr | 2023-07-04 17:30:10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정부와 금융당국이 연체율 10%를 웃도는 개별 새마을금고 30곳에 대해 합동 특별검사를 실시한다.
새마을금고 감독 기관인 행정안전부는 4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위기설’이 대두되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행안부는 우선 연체 상위 금고 100개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중 연체율이 10%가 넘는 30개 금고에 대해서는 특별검사, 70개 금고에 대해서는 특별점검을 하기로 했다.
검사·점검 기간은 7월 10일부터 8월 11일까지 5주간이며 인력은 행안부,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 30명으로 구성된다.
검사·점검 결과에 따라 자산처분과 경비 절감 등 경영 개선, 합병 요구, 임원 직무 정지 등 조처를 내릴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지점 폐쇄나 통폐합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현재 6%대인 연체율을 올 연말까지 4%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6월 29일 기준 새마을금고 대출금액은 총 196조 8천억원(가계 85조 2천억원·기업 111조 6천억원)인데, 이중 연체액은 12조 1600억원(6.18%)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마을금고의 전체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1.93%에서 지난해 말 3.59%로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1월 말 4.31%, 3월 말 5.34%, 5월 말 6.18% 등 계속 늘고 있다.
이후에도 연체율은 증가해 지난달 6.47%까지 치솟았다가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6월 29일 기준 6.18%를 기록 중이다. 이는 신협·농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 전체 연체율(2.42%)의 약 2.5배에 달한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은 6대 4정도의 비율인데, 연체액은 기업대출이 88.4%가량을 차지한다. 부동산업·건설업 침체에 따라 기업 대출 연체율(9.63%)이 치솟으면서 전체 연체율이 올라갔다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65%다.
한편 현재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독 체계는 신용사업과 공제사업은 행정안전부장관이 금융위와 협의해 감독할 수 있고, 경제사업은 행안부가 담당하게 돼 있다. 설립 인가는 지방자치단체장이, 금고 검사는 중앙회와 금융감독원이 맡고 있다.
반면 신협과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 신용사업에 대해서는 건전성 관리에 전문성을 가진 금융위가 키를 잡고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여신한도, 건전성 비율 등 최소한 신용사업과 관련해서는 새마을금고도 금융당국의 감독체계에 편입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