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림
anarim89@alphabiz.co.kr | 2023-02-02 17:36:15
“해도 해도 너무한거 아닌지 싶다. 요즘 사람들을 만나면 치솟은 공공요금 얘기만 한다. 서민들은 죽어 나가는데, 정부가 아무런 대책도 없이 밀어 부치고 있는 것 같다”
평택 비전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 모씨는 최근 전기 가스요금 고지서를 보고 순간 자신의 눈을 의심했다.
전기료가 전월대비 무려 30% 이상 늘어난 걸 확인했기 때문이다.
연초부터 전기·가스·수도요금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공공요금뿐 아니라 물가까지 폭등하면서 국민들의 피로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 물가동향을 살펴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로 1년 전보다 5.2% 급증했다.
지난해 5월부터 9개월째 5% 이상 상승세를 이어간 것이다.
지난 1998년 IMF 당시 살인적 물가상승률이 7.5% 수준이었다. 이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올해다. 지난 11월과 12월 5.0% 수준이었으나, 1월부터 전기, 가스, 수도료가 무려 28% 이상 급등했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은 IMF 수준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이 현실화되고 있는 셈이다. 당장 공공요금이 오르면 다른 물가도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최근 버스와 지하철, 택시 요금까지 줄줄이 인상됐다.
특히 공공요금 인상에 자영업자는 카오스 상태다. 이들은 코로나19로 지난 3년간 힘든 시기를 보냈지만, 또 다시 공공요금 폭탄에 가격 인상 여력이 사리진 지 오래다. 덩달아 소비자의 지갑도 닫게 만들면서 그야말로 진퇴양난인 셈이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물가 하향 안정세를 자신하고 있지만, 정반대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힘든 시기 아무런 대책 없이 공공요금 인상을 내뱉은 후 국민적 저항이 거세지자, 전 정부 탓만 하고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