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10명중 2.75명만 결혼에 '긍정'

김교식 기자

ntaro@alphabiz.co.kr | 2023-12-15 17:32:20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200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다.

2008~2022년 사이 20대 남성은 30.0%p, 여성은 25.4%p 감소했다.

여성 청년은 2008년 50% 수준에서 2022년 20대 27.5%, 30대 31.8%로, 같은 기간 남성 청년은 70% 수준에서 20대 41.9%, 30대 48.7%로 줄었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남녀 모두 30대보다 20대의 감소폭이 더 컸다.

지난해 통계청이 진행한 결혼에 대한 생각을 묻는 설문조사에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여성이 27.5%, 20대 남성은 41.9%로 집계됐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60대 이상 에서 남성 74.9%, 여성 68.7%로 50대(남 60.0%, 여 45.5%)보다도 월등히 높았다.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응답은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30~40대가 생각하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 이유'를 여성은 '일가정 양립 어려움'을 꼽았다.

반면 50~60대 이상에서는 '직업이나 고용상태 불안정', 40대 이하에서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30~34세 기혼 여성의 출산자녀는 1974년 3.01명, 1994년 1.78명, 2021년 1.12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20~30대의 독신, 동거, 무자녀, 비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증가 추세로 2015~2020년 사이 독신은 8.6%p, 동거 14.7%p, 무자녀 16.4%p, 비혼출산 9.5%p 증가했다.

비혼출산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인식이 54.4%로 높았다.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은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독거가구(25.4%), 청년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가구(6.8%) 순으로 집계됐다.

청년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