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06-25 17:42:03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대웅제약이 전국 380여 곳의 병원을 상대로 조직적인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시민단체가 철저한 재수사와 관련자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약사회)는 25일 성명을 내고 "대웅제약의 조직적 리베이트 행위는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 범죄"라며 "경찰과 보건복지부는 사건을 재조사하고 관련자들을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JTBC는 지난 24일 대웅제약 영업직원들이 작성했으며, 의사 실명과 지원 내역, 구체적인 대화 내용까지 상세히 담긴 내부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보고서에는 회사가 학술행사 지원을 대가로 신약 '펙수클루' 처방을 약속받거나 수도권 개인 병원의 인테리어를 지원한 정황, 특정 국제학술대회에 2억원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등급' 후원을 하고 신약 도입이 결정됐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대웅제약 측은 학회 지원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의사의 요청과 무관하며 신약 판매를 위한 대가성 지원도 아니었다"며 "약사법에 따른 합법적인 신약 판촉 활동"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약사회는 성명에서 "이는 명백한 불법 리베이트 행위"라고 반박했다.
특히 약사회는 "효과가 불분명한 뇌기능개선제 '글리아타민'의 병원 도입을 위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논문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동의하겠다"는 교수의 발언 정황까지 드러났다"면서 "이는 의료인으로서의 윤리를 저버린 행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경찰의 부실 수사 의혹도 지적했다. 약사회는 "경찰이 리베이트 제공 의혹이 있는 382개 병원 중 16곳의 개인병원 의사만 조사하고, 보도에 등장한 대학병원 의사들은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며 "인력 부족을 핑계로 사건을 회피하는 것은 직무유기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보건복지부도 권익위로부터 이첩된 정보를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권익위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거나, 경찰과 보건복지부가 불법 정황을 파악하려는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비판했다.
약사회는 "한국처럼 제약사발 불법 리베이트가 만연한 사회에서 인력 부족을 핑계로 문제를 회피하는 것은 사건을 은폐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약사회는 정부를 향해 ▲대웅제약 사건 특별수사팀 구성 및 재조사 ▲학술대회 지원 등 경제적 이익 제공에 대한 보건복지부 전수조사 ▲불법 리베이트 적발 시 약가 인하 등 강력한 행정처분을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