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4-09-18 17:03:54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우리나라 조선업이 15년만의 호황기를 맞이하고 있다.
'신(新)조선가 지수'가 지난 2008년 9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191.6에 근접했다. 연내 사상 최고치 경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 지난 6일 신조선가 지수 189.7…최고치 육박 수준
18일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6일 신조선가 지수는 189.7을 기록했다. 이는 1988년 1월 전 세계 선박 가격을 100으로 지수화한 이래 최고치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런 상승세가 지난 2021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선박 발주 증가에 기인한다고 분석한다.
신조선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엔데믹에 따른 경기 회복과 그에 따른 물동량 증가가 지목된다.
해운사들의 선박 수요가 급증하면서, 조선사들의 수주 잔량은 현재 3년에서 3년 6개월치에 달한다. 이는 업계에서 말하는 '수주 마지노선'인 2년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컨테이너선 가격의 급등이다. 후티 반군의 홍해 점거로 인한 해운 불안정성이 가중되면서, 1만5000~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 가격은 2020년 말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