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경 금융통화위원, 25일 열린 노동시장 세미나에서 모두연설 중 (사진=한국은행)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이 "노동시장 긴장이 완화되면 물가 하락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25일 서 위원은 서울 중구 한은 신축 통합별관에서 열린 '2023년 한국은행 노동시장 세미나'에 참석해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주제로 이같이 말했다. 서 위원은 우리나라 고용시장에 대해 "양적 지표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지만 시장 긴장도는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고용시장에서는 수요둔화와 공급확대가 맞물리면서 타이트함(실업자수 대비 빈일자리수 비율)이 완화되고 있어 물가 압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우리나라 고용이 고령화, 여성 고용, 산업구조 등 비(非) 경기적 요인에 의해 주도 되고 있어 미국과 달리 통화정책의 고용 파급효과는 여전히 한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서 위원은 "미국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양적 지표는 팬데믹 이후 상대적으로 확대된 반면 노동시장 타이트함은 낮은 수준"이라며 "이는 고령층의 공급확대, 여성 노동공급 증가 등의 영향"이라고 말했다. 노동시장이 타이트하다는 것은 구직자 수에 비해 빈 일자리가 더 많다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서 위원은 노동생산성 하락으로 인해 통화정책적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노동생산성 하락이 지속될 경우 저성장, 저물가 체제로 회귀가 불가피하고 통화정책적 부담도 증가할 수 있다"면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베이비부머의 인적자본 활용, 보육여건 개선, 고부가서비스 이민자 개방 등 노동시장의 실질적인 구조개선 노력을 일관성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 날 세미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참석했다. 이 총재는 환영사에서 "노동시장은 고용과 성장, 물가 등 거시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소득 분배와 인적자본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삶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주제"라며 "나아가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에 대해서도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