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숙 기자
parkns@alphabiz.co.kr | 2025-09-10 16:01:02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이번 9·7 부동산 대책이 중견 건설사에는 기회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지난 7일 정부 협동부처는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공급 방안은 크게 세가지로 이러한 방안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연 27만호, 총 135만호에 해당하는 신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내용이다.
먼저 공공 주도의 수도권 공급이다. LH가 직접 시행하고 보유하고 있는 토지 중 비주택 토지의 주택 용도 전환으로 공급 물량 확대와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LH 직접 시행으로 총 6만 호를 착공할 계획으로 직접 시행 물량은 민간이 설계, 시공을 전담하는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서울 서리풀 2만호, 과천 1만호 등 서울 남부권 신규 공공택지는 계획대로 추진된다.
도심 노후주택, 유휴부지 활용 주택공급이 확대되며 민간 재개발, 재건축 여건이 개선된다.
LS증권에 따르면, 이번 공급대책에는 주택시장 수요관리 내실화, 즉 투기수요 유입과 가계대출 증가 방어책으로 대출 관리 강화와 규제지역 지정권한 확대 등의 내용이 함께 발표됐다.
규제지역 내 LTV는 현재 50%에서 9/8부터 40%로 낮아지고, 주택매매,임대사업자의 주택담보대출이 0%로 제한된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권자가 기존 시,도지사에서 시행령 개정을 통해 국토부장관이 지정 가능토록 지정권자가 확대될 계획이다.
김세련 LS증권 연구원은 "전반적인 정책 기조는 당초 대통령이 밝혔던 새로운 정책보다는 기존 공급 정책을 활용해 공급 속도를 높이겠다고 제시한 만큼, 예상했던 범주 내에서 발표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공급 대책 자체에서 서프라이즈는 없었으며, 안전 관련 이슈로 대형 건설사의 공급 확대 동력이 다소 감소한 상황으로, 재개발, 재건축 여건 개선에 따라 사업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에 더해 공사 기간 지연에 수반한 비용 증가 가능성 등으로 건설 섹터에 대한 의견 을 중립(Neutral)으로 유지했다.
다만 수도권 공급에 공공의 주도가 확실해진 만큼 공공 익스포져가 높은 중견 건설사에 기회 요인이 된다는 판단이다.
김세련 연구원은 "또한 올해 출하량 바닥을 다지고 있는 시멘트 업체도 정부 주도하의 공급 확대가 점진적인 물량 턴어라운드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어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