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7-16 16:12:12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정년 연장과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에 대해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국내 노동 정책의 변화를 예고했다.
김 후보자는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공적연금 지급 시기와 퇴직 시기의 불일치"를 지적하며 정년 연장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그는 정년 연장을 고용노동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것이다. 그러면서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김 후보자는 "정식 임명 시 당정협의를 통해 조속한 시일 내 개혁 입법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 李 정부, 법정 정년 65세 조정 공약…김영훈 후보 “연내 정년 연장 추진”
앞서 김영훈 후보자는 정년연장 추진의 필연성을 수차례 강조해왔다. 이재명 대통령도 법정 정년을 65세로 조정하는 공약을 밝힌 바 있다.
그는 정년 연장에 대한 노동계와 경영계의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될 경우 주요 과제로 확고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노동계 맏형격인 현대자동차 노조의 임단협 협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국내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지난 2003년 주 5일제 도입하자, 자동차 부품사 및 협력사 3400여곳이 순차적으로 주 5일제를 도입한 바 있다.
정년 연장을 놓고, 경영계와 노동계가 첨예한 갈등을 벌이고 있지만,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 기조에서 정년 연장에 큰 힘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치호 경제평론가 겸 행정학 박사는 “지난 1998년 법정 정년을 60세로 늘린 일본은 장기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연장해왔다”면서 “25년이라는 유예 기간을 거쳐 현재 일본 기업의 99%가 65세로 정년 연장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장기간 경영계와 노동계의 치열한 토론을 거쳐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