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 2024-04-17 15:16:50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대출 실행 후 14일 이내라면 취소할 수 있음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해 이용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4개 시중은행과 1개 인터넷 은행 대출 이용자의 68.6%가 대출 중도상환 대신 청약철회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연령이 높을수록 대출 청약철회권 활용도가 떨어졌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79.3%)와 30대(65.2%)의 청약철회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반면 60대(36.4%), 70대(39.2%)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대출 이용자의 청약철회권 행사 비중은 작았습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 대출성 상품을 이용한 소비자는 대출 실행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청약철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일정 기간 이내에 취소 또는 환불받을 수 있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일부 금융회사는 고령자에 대해서는 대출 청약철회 가능 기간을 30일로 확대해서 운영하기도 합니다.
대출의 경우 금융회사에 대출 철회 의사를 밝힌 후 원금, 이자와 더불어 인지세 등 부대비용을 반환하면 대출 계약은 취소되고 대출 기록도 신용정보기관에서 삭제됩니다.
특히 대출금 일부를 이미 상환한 후에도 청약철회가 가능하며 일부 상환시 납부했던 중도상환수수료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금감원은 대출 청약철회 시 인지세 등 부대비용만 반환하면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중도상환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중도상환보다 유리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다만 중도상환 시 수수료가 면제된다면 부대비용을 반환할 필요가 없는 중도상환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소비자가 14일 내 대출 청약철회나 중도상환을 요구할 경우 반드시 그 차이를 알기 쉽게 비교 설명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며 “차기 공정금융 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금융사 청약철회권 안내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