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조지아공장서 3명 사망…총영사관은 '깜깜'

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10-17 15:11:54

11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엘러벨에 위치한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지난 4일 국토안보부의 불법체류자 단속 후 건설이 전면 중단된 채 텅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가 합작해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 국적의 영주권자가 사망했음에도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이 이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외교통일위원회 의원실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 합작으로 진행 중인 조지아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지난 2023년부터 올해 5월까지 노동자 3명이 숨졌다.

올해 3월 사망한 유선복씨는 한국 국적의 미국 영주권자로, 현지 한인 언론과 국내 언론에도 이미 보도됐다.

그러나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이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는 올해 5월 사망한 미국인 노동자 1명만 기재됐고, 유씨 사망 사실은 누락됐다.

영사관은 "착각했다"며 사실상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의원실은 전했다.

의원실이 확보한 현지 정보에 따르면, 해당 공장 건설 과정은 하청·재하청 구조로 인해 안전관리 체계가 크게 약화됐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에 보고된 산업재해만 70건이 넘었다.

불법체류 노동자들이 추방을 우려해 신고하지 못한 경우까지 고려하면 실제 사고 건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의원은 "조지아 배터리 공장처럼 대규모 미국 투자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지역에는 단순 비자 문제를 넘어 노동·이민·지역 정치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지 공관이 이런 복합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본부 및 관계기관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의원은 "외교부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재외공관의 정보 수집·분석 기능을 강화하고, 해외 투자 및 진출 기업의 안전·노동 관리 실태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