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서울 종로 우리은행 종로4가금융센터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와 금융감독원간 '장금이 협약 체결식' (사진=금융감독원)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불거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대해 "'중요 관리 대상 사업장' 300여곳을 집중 관리중이니 너무 걱정말라"는 뜻을 전했다. 5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서울 중구 우리은행 종로4가 금융센터에서 열린 '전통시장 상인의 금융사기 예방 등을 위한 금감원과 중기부 업무협약식'이 끝난 후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 PF 사업장 5000여개 중에서 300~500개 사업장이 부실 우려라기보다는 좀 더 세밀한 관리를 통해 시스템적인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방식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챙겨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사업장들이 실제 부실이 생긴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적절한 형태의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지만, 지나치게 쏠림이 있거나 불안을 야기하는 형태로 나타나지 않도록 중장기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해 PF사업장 5000여개를 전수조사한 후 부실 위험이 높은 사업장 300여곳을 추려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행정안전부 관할로 금융감독원의 감독권한이 부재한 새마을금고의 PF 건전성 우려가 지속해 제기된다는 지적에 "현재 행안부를 포함해 부처 간 긴밀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날 발표된 감사원의 감사 결과에 대해서는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고, 문제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 신속히 수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감사원은 금감원이 직원들에 퇴직금을 과다 지급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특별감리 과정에서 적절한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은행권 지배구조 개선 방안과 관련해 "각 금유융지주 사정에 맞게 개선 방안을 마련중"이라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만드는 것이 당국의 의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