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고정분류여신'이 뭘까요? : 경제용어사전|알파경제TV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 2024-10-14 15:10:12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고정분류여신

1. 용어 정의 및 상세 설명

상환 가능성이 낮아 정상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없는 여신. 즉, 돈을 빌려준 기업이나 개인이 약속된 대로 돈을 갚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금융기관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대출을 의미합니다.

고정분류여신은 일반적으로 연체 기간이 길어지고 채무자의 신용 상태가 악화되어 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대출 채권을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은 이러한 고정분류여신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여 손실에 대비하며, 회수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부실채권으로 분류하여 처리하기도 합니다.

2. 역사

고정분류여신은 금융 시장에서 항상 존재해왔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 그 비중이 크게 변화해왔습니다. 특히 경기 침체기나 금융 위기 시에는 기업들의 부도가 늘어나면서 고정분류여신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3. 관련 흥미로운 사건

2008년 금융 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고정분류여신이 급증하며 금융 시스템 전체가 위기에 빠졌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활동 위축으로 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고정분류여신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4. 앞으로의 전망

향후 고정분류여신의 전망은 글로벌 경제 상황, 금리 수준, 각국의 금융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특히 기후 변화, 기술 발전 등 새로운 변수들이 등장하면서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