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미국 정부가 520억 달러(약 7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반도체 제조업 부활에 나섰지만 당장 공장을 지을 인력이 부족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9일(현지시각) 해외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천문학적인 자금을 들려 반도체 제조업 살리기에 급급하나 당면한 가장 큰 장애물은 노동 인력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 수급 불일치가 미국 경제의 근간을 흔들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서 인텔은 오하이오주에에 10년에 걸쳐 10개의 반도체 생산 라인(Fab)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5년 완공 예정으로 첫 생산시설에서 약 3000명의 고용창출효과를 기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오하이오 반도체공장 착공식에서 "반도체의 미래는 미국에서 만들어질 것"이라고 자랑했다. 그러나 착공식이 열린지 6개월이나 지났지만 생산인력을 구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장을 짓는데 필요한 인력은 약 7000명 정도인데 최소 40%가 모자른 것으로 나타났다.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이 공장들을 운영하기 위해 이미 고용하고 있는 27만7000명 외에 추가로 10만명의 새 노동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美 반도체 공장 (사진=연합뉴스)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 지원법으로 약 2000억 달러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 냈다고 자부했으나 구인난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오하이오주 경제개발청 관계자는 "지난 수십년 간 투자와 공장 유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이 있었지만 이제는 인재 모시기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노동자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뚜렷한 지역에서 노동자 모시기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장 건설인력 뿐만 아니라 요리사, 간호사, 용접공 등의 노동자도 부족한 형태다. 오하이오는 뉴욕에 "비싼 쪽방에서 살지말고 제대로된 집에서 일합시다"라는 광고판을 내걸며 본격적으로 노동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또 지역 학교를 방문해 전기기사나 배관공 직업에 대해 홍보하는 노력도 하고 있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수자이 시바쿠마르 연구원은 "인텔 등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직면한 인력 문제는 더 광범위한 경제가 마주한 문제의 예고편일 뿐"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인적자원 전략을 짜야한다"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