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4-01-16 15:07:38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는 공공분야 입찰담합감시를 강화하는 동시에 범위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2006년부터 입찰담합을 방지하기 위해 '입찰담합 징후 분석시스템'을 운영해 오고 있다.
이 분석시스템은 공공기관에서 제출받은 입찰정보를 분석해 담합징후가 있는 조사대상 입찰건을 선별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문제는 그 동안 중앙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만이 분석시스템에 입찰정보를 제출했다는 점이다. 이외 공공기관이 발주 입찰은 감시하기 어려운 사각 지대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정위는 지난 2023년에 공정거래법령을 개정해 3개 범주의 공공기관(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도 의무적으로 입찰 정보를 제출하도록 법제화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추가된 입찰정보 제출기관들은 약 700개 기관에 달하나, 대부분 조달청의 나라장터를 통해 입찰을 진행하고 있어 입찰정보의 제출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현재 해당 기관들의 입찰정보를 제출받기 위해 조달청에 협조요청 중에 있으며, 올해 1월 중으로 입찰정보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