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3일 오전 서울 중구 공정거래 종합상담센터에서 열린 '불법사금융 근절을 위한 민생현장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오는 4월까지 정책금융 122조원이 산업 현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정책금융기관들은 상반기 중 연간 공급 계획의 60% 이상을 집행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정책금융기관 조기 집행 점검 회의를 하고 정책금융기관별 자금 집행 현황을 점검하고 빠른 자금 집행을 당부했다.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14일까지 모두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해 전년 대비 17% 빠른 속도로 집행 중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4조9000억원(17%) 더 공급됐다. 이들 정책기관들은 다음 달 말까지 88조원, 오는 4월 말까지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2023년 4월 109조3000억원과 비교해 13조원 확대된 규모다. 이를 통해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에 달성할 계획이다. 지분투자확대를 위한 정책펀드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3년차를 맞이한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지난해 12월 조성계획을 조기에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산업은행은 지난달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조기 출시해 설비투자를 하려는 반도체 기업에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 중이다. 김 부위원장은 "3월부터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 설비투자가 시작되는 만큼 산업현장에도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이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며 "실물경기 회복속도가 늦춰지면 산업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