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효 기자
kei1000@alphabiz.co.kr | 2025-05-11 13:58:28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롯데손해보험이 5년 전 발행한 9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대한 조기상환(콜옵션) 추진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면서, 채권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600억원이 넘는 채권을 보유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손보가 2020년 5월 발행한 8회 후순위채의 개인 보유 잔고는 600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채권은 법인, 증권사, 종금사 등이 보유하고 있다.
롯데손보의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 여부를 두고 투자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롯데손보는 콜옵션 강행 의지를 밝혔으나, 금융당국은 재무건전성 요건 미비를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롯데손보는 "당국의 입장을 존중하며 투자자 보호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한 발 물러섰다.
금융당국이 이례적으로 브리핑을 통해 "롯데손보의 콜옵션 강행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이다. 후순위채 콜옵션 상환 실무를 담당하는 예탁결제원 역시 '불가' 방침을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롯데손보 후순위채 대부분을 개인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만큼, 조기상환에 차질이 생길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후순위채 만기는 10년이지만, 콜옵션은 5년 뒤 행사가 가능하다"며 "시장에선 사실상 5년 만기 채권으로 거래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이번 사안이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이슈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