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이스탄불) 박정원 특파원] 튀르키예 지진 피해 규모가 342억달러(약 4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며 피해 복구 비용이 최대 680억달러(약 89조원)로 추산됐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복구 비용(3490억달러)의 5분의 1에 달하는 금액이다. 27일(현지시각) 세계은행(WB)은 튀르키예의 지진 피해 규모가 342억달러(약 45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는 튀르키예의 국내총생산(GDP)의 4%에 달하는 액수로, 간접적인 피해 건수까지 합산되면 피해 금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은 튀르키예 직접 지원을 위해 현재까지 7억 8000만달러(약 1조원)를 지원했다. 또한 10억달러(약 1조 3000억원) 규모의 새로운 긴급 복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튀르키예와 시리아는 지난 6일 진도 7.8과 7.5의 강진이 연달아 발생한 이후 국토 내 건물의 10만5000채가 붕괴됐다. 지진 피해로 이재민은 125만명에 달하며 학교, 병원 등 공공 인프라의 시설이 완전히 무너지며 실생활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 발생 이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남부 지역을 1년 내 재건하겠다며 약속하고 나섰으나, 지진 전문가들은 피해를 모두 복구하는 데 까지 최소 수년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으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것에 대하여 '부실 공사'가 근본적인 문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도시를 아예 새롭게 정비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주요 외신에 "최우선 순위는 새로운 건물을 짓는게 아니라, 새로운 계획을 구상하는 것"이라며 "철거된 건물을 새로 짓는 것 뿐만 아니라, 단층선을 피해 건설하는 방식 등으로 도시를 구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999년 튀르키예는 사망자 1만7000여명이 발생한 대지진을 한 차례 겪은 바 있다. 이후 건물 내진 규제를 강화했으나 정부가 특정 건설사에 내진 규제법 면제 특권을 주며 또 다시 부실 공사가 만연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당시 WB의 튀르키예 담당 이사였던 경제학자 아제이 치바는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튀르키예 정부가 특정 건설사를 위해 면제권을 남발했으며 건설사들은 정치인들과 정당에 자금을 대고 있어 자신들이 면제권을 받게 될 지 알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WB는 "이번 지진은 지진의 강도가 비정상적으로 강했기도 하지만 건축과 안전에 대한 튀르키예 당국의 무심한 태도가 큰 피해를 키운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지진 피해가 집중된 튀르키예 남부 11개주는 튀르키예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으로, 자국에 유입된 시리아 난민의 절반가량인 170만명을 수용하고 있다. 튀르키예 하타이 지역 난민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