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부위원장, 24일 오전 핀테크 기업 글로벌 진출 활성화 간담회에 참석해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사진=금융위)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내 핀테크 기업의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김 부위원장은 24일 마포 프론트원에서 열린 '핀테크 기업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핀테크 해외 진출 지원 정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핀테크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건의 과제 등을 진행했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 기업의 글로벌 진출 활성화는 핀테크 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정책과제"라며 "그동안 금융혁신의 동력으로 금융산업 전반의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핀테크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핀테크 스타트업의 창업·성장부터 해외진출까지 원스톱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고도화해나가겠다"며 "금융회사에도 핀테크의 해외진출을 위한 거점활용지원, 네트워크 제공 등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금융회사들도 자사의 국내·외 핀테크랩 운영성과를 설명하고, 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핀테크 기업 3사(에이젠글로벌, 에이브릿지, 에프엔에스밸류)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핀테크혁신펀드, 해외진출 컨설팅 등 핀테크 지원정책과 금융회사의 적극적 지원 등에 힘입어 글로벌 진출에 성공한 사례를 발표하고 노하우를 공유했다. 핀테크 업계는 해외 진출 활성화 과제에 대해 유망한 핀테크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자금 지원, 해외시장정보 제공 및 해외 진출 컨설팅 확대, 현지 금융사 및 핀테크 기업과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등을 요청했다. 이에 금융사들은 국내외 핀테크랩 운영성과를 공유하고 핀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정유신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는 핀테크 "기업들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해서 현지의 정보기술(IT) 개발인력 확보의 어려움 해소가 필요하다"며 전문인력 매칭업체 발굴 및 교육 지원 등을 제언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박사는 "핀테크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현지화와 현지 핀테크 및 금융회사와의 제휴가 필요하다"며 "소형 핀테크 기업의 경우 해외시장에 진출한 국내 금융회사와의 협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앞서 핀테크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혁신펀드를 구성하고 정책금융기관 지원을 연 2천억원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금융위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금융권 글로벌화 정책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