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7-25 14:49:07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한미 간 '2+2 외교·통상 고위급 협의'가 예고 없이 무산되면서 정부와 재계는 사실상 비상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내주 최종 협상안을 미국 측에 전달하기 위해 최종 협상 카드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통령실은 주요 그룹 총수들과의 접촉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대기업들은 대외협력·대관 부서를 비롯해 미국 현지 인맥과 로비 채널까지 총동원하고 있다.
특히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하는 통상대책회의가 열렸다.
◇ 李 대통령, 재계 총수들 연쇄 회동…협상카드 논의 총력
25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주요 그룹 총수들과 연쇄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22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만찬을 가진 데 이어, 24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도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과도 만났다.
대통령실은 총수들과의 개별 만찬에서 별도 의제를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최대 현안인 만큼, 초고율 관세에 대한 우려와 대미 투자 계획 등 협상 카드가 논의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각 그룹 회장들로부터 대미 투자 구상과 글로벌 통상 전략, 지방 활성화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미래 사회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이뤄진 이재용 회장과의 회동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현지 투자 총액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방안은 물론, 러스트벨트 청년층을 겨냥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 비금전 협력카드도 논의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협상 국면이 통제 불가능한 방향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정부와 기업 모두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아직 고위급 협상 재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투자 규모와 방식, 상징성까지 포함한 민간 전략 자산이 어떤 조합으로 협상 테이블에 오를지가 관건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