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3-28 13:35:51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공 들인 프리미엄 브랜드 더미식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작년 더미식의 광고홍보비는 크게 확대됐으나, 연구개발비에는 인색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선 제품 혁신 없이 고가 판매만 고집하면서 판매부진을 부추긴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28일 한 언론매체에 따르면 하림산업은 작년 광고선전비로 267억원을 사용한 반면, 연구개발비는 고작 11억원에 불과하다.
눈에 띄는 건 지난 2021년 더미식 론칭 당시 연구개발비는 30억원으로 오히려 3분의 1로 크게 줄어들었다.
반면 광고선전비는 2020년 68억원에서 2024년 267억원으로 5년새 3배 이상 급증했다. 전체 매출에서 광고판촉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33%에 해당했다.
다시 말해 제품 연구개발 투자에는 인색했지만, 홍보에는 큰 돈을 사용한 셈이다.
경쟁업체로 꼽히는 ▲CJ제일제당의 경우 작년 연구개발에 2180억원 ▲대상 476억원 ▲농심 295억원 ▲풀무원 300억원을 쏟아 부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림이 프리미엄 브랜드로 야심차게 고가 전략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제품에 혁신을 통한 차별화된 가치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실제로 하림산업은 더미식 론칭 직후인 ▲2021년 영업적자 589억원 ▲2022년 868억원 ▲2023년 1096억원으로 매년 적자가 쌓이고 있다.
김홍국 회장은 2023년 ▲2월 300억원 ▲7월 300억원 ▲10월 400억원 2024년 ▲1월 300억원 등 4회에 걸쳐 총 1300억원을 출자한 바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 이유는 가격은 비싸지만, 맛이나 품질은 월등히 높지 않기 때문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