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의 영향으로 5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4월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46억7000만 달러로 전월 말 4096억6000만 달러 대비 49억 9000만 달러 감소했다. 지난해 4월 59억9000만 달러 이후 1년 만에 최대 폭 감소하면서 2020년 4월(4049억8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6원으로 뛰는 등 불안한 환율 탓에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거래가 늘면서 외환보유액 유출이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4월 들어 분기말 효과가 소멸된 영향도 작용했다. 금융기관은 각 분기말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을 준수하기 위해 3월, 6월 9월 등에는 외회예수금을 늘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4097억 달러)는 세계 10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0년 관련 순위 집계 이후 9위 자리를 놓친 건 이번이 처음이다. 1위는 중국으로 3조2407억 달러를 보유했다. 이어 일본 1조 2725억달러(2위), 스위스 9408억 달러(3위), 인도 6683억달러(4위), 러시아 6474억 달러(5위), 대만 5780억 달러(6위), 사우디아라비아 4542억 달러(7위), 독일 4355억 달러(8위), 홍콩 4125억 달러(9위) 순이었다. 한은은 "감소 요인의 상당 부분이 일시적인 데다 환율도 하락세인 만큼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 아래까지 내려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라며 "외환스와프 만기에는 국민연금으로부터 다시 자금이 돌아오고, 금융기관 예수금도 계절적 특성에 따른 것인 만큼 기조적으로 계속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