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10-05 13:24:26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핵심으로 꼽히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장비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차세대 HBM용 장비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최근에는 반도체 패키징 본딩 장비 전문가 채용에 직접 나서며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한미반도체가 독점하고 있던 HBM 장비 시장에 한화세미텍에 이어 LG전자까지 진입하면서, 차세대 HBM 장비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3파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 28년까지 HBM용 하이브리드 본더 양산 검증(POC), 30년 사업화 나설 계획
5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생산 기술원 내에서 HBM용 본딩 구조 및 공정 프로세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핵심 공법과 장비를 개발할 전문가 채용을 진행 중이다.
해당 직무는 ▲본딩 장비 핵심 부품 개발 및 구조 설계 ▲반도체 장비용 ‘열 관리 솔루션’ 설계 ▲고속·정밀 모션 제어 ▲정밀 알고리즘 개발 등 전문 분야를 아우른다.
LG전자는 이미 지난 6월부터 HBM용 하이브리드 본더 개발 국책 과제를 수행해왔으며, 이번 채용은 고속 및 정밀 본딩 기술의 내재화를 통해 사업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하이브리드 본더는 HBM에 사용되는 D램을 적층할 때 이를 하나로 연결하는 핵심 장비다.
현재 주력으로 사용되는 열압착(TC) 본더보다 한 단계 발전된 기술로, D램 간 가교 역할을 하는 범프(Bump)가 필요 없어 HBM을 더욱 얇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존 TC 본더 대비 전력 효율, 처리 속도, 배선 밀도 측면에서도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6세대 HBM(HBM4)에, SK하이닉스가 7세대 제품(HBM4E)에 하이브리드 본더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존 HBM 핵심 장비인 TC 본더 시장은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는 한미반도체의 독주 체제에 가깝다.
LG전자는 이런 시장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TC 본더를 건너뛰고 직접적으로 하이브리드 본더 시장에 진입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LG전자는 2028년까지 하이브리드 본더의 양산 검증(POC)을 완료하고, 2030년부터 본격적인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LG전자의 HBM 장비 시장 진출은 기업간 거래(B2B) 중심의 사업 구조 재편과 AI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