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기준금리' 무슨 말일까?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 2025-01-24 12:56:06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 (Base Rate)**는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금리입니다. 마치 경제 시스템의 ‘기준 온도’와 같이, 시중의 모든 금리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금리도 함께 오르고,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시중 금리도 함께 내려가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은 경기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가 과열되어 물가가 상승할 때는 기준금리를 올려 경기를 둔화시키고, 반대로 경기가 침체될 때는 기준금리를 내려 경기를 부양합니다.

1-1. 기준금리와 반대되는 개념

* **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디플레이션 (De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기준금리를 내리면 디플레이션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기준금리의 역사

기준금리의 개념은 20세기 초 중앙은행이 설립되면서부터 등장했습니다. 초기에는 금본위제 하에서 금의 가치에 연동되어 금리가 결정되었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각국의 중앙은행이 독자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하면서 기준금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기준금리를 통한 경기 조절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3. 기준금리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건

* **2008년 금융위기:**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가 발생하자, 주요 국가들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는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경제가 침체되자, 주요 국가들은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양적완화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4. 기준금리의 미래 전망

앞으로도 기준금리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후 변화, 기술 발전,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들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중앙은행은 이에 맞춰 유연하게 기준금리를 조절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디지털 화폐의 등장과 같은 새로운 금융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통화정책 체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