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 | 2024-02-18 12:57:06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미국과 유럽의 상업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해외부동산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국내 금융사들을 통해 해외부동산 공모펀드에 가입한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이 가파르게 확대되면서 제2의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5일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해외 상업용 부동산 대체투자 손실 우려에 대해 “금융사들이 갖는 손실흡수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면서 “크게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김주현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해외부동산 공모펀드 손실 급증
해외부동산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개인투자자의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언론매체에 따르면 KB증권은 지난 2014년 10월 미국 뉴저지의 한 상업용 빌딩에 180억원을 투자했으나, 현재 평가액은 11억원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지난 2020년 미국 전역 30여개 호텔 수익증권 218억원을 투자했지만, 현재 17억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또 하나손해보험은 2018년 6월 뉴욕 맨하튼 20 타임스퀘어에 114억원을 투자했으나, 전액 손실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생명보험도 571억원을 투자했으나, 현재 평가금액은 0원으로 휴지조각이 됐다.
특히 한 증권사는 지난 2022년 12월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업용 빌딩에 총 1356억원을 투자했으나, 현재 대출 채권과 수익증권 모두 전액 손실 처리됐다.
해외부동산 리스크는 개인투자자 손실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지난 2018년 이후 판매된 해외부동산 공모펀드는 총 1조 2757억원이며, 개인자금이 1조 478억원에 달한다. 올해 만기를 앞둔 공모펀드는 4365억원 내년 3470억원이 만기예정이다.
이미 해외부동산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만기 연장을 하지 못할 경우 자산 처분권이 대주단에 넘어가고, 개인투자자는 투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 김주현 금융위원장 “해외부동산, 걱정할 일 아니다”
김주현 위원장은 지난 1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및 정책금융기관장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을 만나 "해외부동산 펀드 투자는 만기가 분산돼 있고, 일부 공모펀드에 개인도 있지만, 대부분 기관 투자자로 손실 흡수율이 있어 (해외부동산 리스크) 걱정할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홍콩 ELS 투자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부동산 리스크까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지만, 김 위원장이 다소 안일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금융사들은 앞다퉈 해외부동산 관련 개별 대출·투자건에 대한 실사에 나서면서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외부동산 관련 추가 부실을 막기 위한 것으로 관련 심각성이 상상 이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이미 미국과 유럽 등 해외부동산에 대한 신규 취급을 금지한 상태로 해외부동산에 대한 철저한 감리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