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정민 기자
hera20214@alphabiz.co.kr | 2025-04-24 12:12:17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인적 분할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지만, 복잡한 지배구조와 수수료에 편중된 수익 구조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빗썸은 지난 21일 인적 분할을 위한 증권 신고서를 제출하고, 오는 7월 31일을 분할 기일로 설정했다.
이는 가상자산거래소와 신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각 사업 영역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빗썸의 IPO 성공을 위해서는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빗썸 지분 73.56%를 보유한 최대 주주 빗썸홀딩스의 소유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실소유주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빗썸홀딩스는 비덴트가 34.2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에이에이 등 여러 기업이 나머지 지분을 나눠 가지고 있다.
비덴트 역시 인바이오젠, 버킷스튜디오 등으로 이어지는 지배 구조를 가지고 있어 최종 소유주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비덴트의 경우 횡령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상장폐지 심사를 받고 있어 빗썸의 지배구조 불안정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
또한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의 사기 혐의 관련 법적 리스크도 여전히 남아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수익 구조 다변화도 시급한 과제다. 빗썸의 지난해 매출액은 4963억원으로 전년 대비 254.4% 증가했지만, 매출의 90% 이상이 가상 자산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했다.
가상 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수료에만 의존하는 수익 구조는 안정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빗썸은 IPO를 앞두고 마케팅 비용을 대폭 늘리고 있다.
2022년 161억원이었던 총 마케팅 비용은 지난해 1922억원으로 12배나 증가했다.
이는 점유율 확대를 위한 불가피한 투자로 볼 수 있지만, 과도한 마케팅 비용 지출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금융 당국의 현장 검사 역시 빗썸에게는 부담스러운 요소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가상자산사업자(VASP) 갱신 심사를 위해 국내 원화 가상자산거래소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빗썸은 최근 검사 기간이 1주일 연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빗썸이 미신고 사업자 거래와 관련해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빗썸은 2020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했으나 최종적으로 포기한 바 있다.
만약 빗썸이 이번 IPO에 성공한다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중 첫 번째 상장 사례가 된다.
빗썸 관계자는 "올해 말 상장을 목표로 준비 중"이라며 "지배구조 체제 변경을 통해 기업 가치와 주주 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