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4-09-05 11:53:04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창업자이자 기업집단 동일인 박현주 GSO(Global Strategy Officer)는 회사의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림에도 불구하고 등기이사가 아니다. 부동산 과다 투자 등 잘못된 리스크 관리 및 의사결정에 대해 법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 올바른 경영자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한국거버넌스기업포럼은 5일 논평을 통해 미래에셋증권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계획을 발표했으나, 디테일이 부족하다며 C등급을 부여했다.
특히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이 미등기로 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올바른 경영자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거버넌스포럼은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C등급을 부여한 이유에 대해서 4가지를 제시했다.
첫번째로 창업자이자 기업집단 동일인 박현주 GSO(Global Strategy Officer)는 회사의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림에도 불구하고 등기이사가 아니다.
박현주 GSO가 실질적 경영 활동, 주요 의사 결정을 하고 있으나, 부동산 과다 투자 등 잘못된 리스크 관리 및 의사결정에 대해 법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거버넌스포럼은 미래에셋증권 이사회가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박현주 GSO를 등기이사로 선임해서 책임경영을 요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번째로 밸류업의 핵심인 자본배치 원칙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없다는 지적했다.
미래에셋증권 계획대로 2030년까지 1억주(또는 발행주식수 13%) 소각한다면 유통 물량만 축소될 것이다.
이는 컨트롤 의식한 지배주주 중심의 계획으로 보인다면서 밸류업에 진정성이 있다면 자기주식 25% 즉시 전량 소각하고, NAVER 보유 8% 지분 회사가 매수해 빠른 시일 내에 소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