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혜영 기자
kay33@alphabiz.co.kr | 2024-01-31 11:48:38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의 판매부진‧재고증가, 영업이익 감소 등 영향으로 지난해 기업 부실기업수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3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기업 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개사 중 4255개사(11.7%)가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분석됐다.
부실기업 수는 2022년 3856개사에 비해 3399개사(10.3%) 증가했다. 이는 분석기간인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수치다.
국내 외감기업들의 평균부실확률은 분석기간인 2019년 5.33%에서 2020년 6.07%, 2021년 7.04%, 2022년 7.67%, 2023년 7.92%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부실확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부동산업과 보건업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각각 21.4%의 높은 평균부실 확률을 보여 해당 산업 기업들의 부실위험이 높았다. 그 외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등이 높은 평균부실확률을 보이며 위험신호를 보였다.
평균부실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었다. 건설업의 평균부실확률은 2019년 2.6%에 불과했지만, 2023년 현재 6.0%로 4년 사이 2.3배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금리 지속, 미분양 등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 증가가 부동산업·건설업의 부실위험기업 비중 증가 전망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하여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부실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