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07-03 11:33:19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정치권에서 대주주인 MBK 파트너스(이하 MBK)를 향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강력한 촉구가 나왔다.
최근 MBK가 발표한 인수합병(M&A) 방침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6대 요구안을 제시하고 이행되지 않을 시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까지 경고했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2일 공동 논평을 통해 "MBK가 홈플러스 정상화에 진심인지 의문스럽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지난달 13일 MBK가 홈플러스의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높다는 회계 보고가 나온 직후 '인가 전 M&A' 방침을 발표한 점을 지적했다.
이들은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청산으로 이어져 대규모 실직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기습적인 회생 신청에 이어 M&A 결정 역시 깊은 고민 없이 이뤄진 것이 아닌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홈플러스 정상화의 핵심으로 채권자 변제, 입점업체 보호, 노동자 고용 안정을 꼽으며 MBK가 이행해야 할 구체적인 사항들을 제시했다.
먼저 M&A를 추진할 인수자의 인수자금에 전단채(전자단기사채) 및 납품대금 채권 변제를 위한 충분한 현금이 포함되어야 하고, 김병주 MBK 회장 역시 약속했던 사재출연을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M&A 계약서 자체에 고용 승계, 임차상인 보호, 납품대금 성실 변제 조항을 명시할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아울러 공식 채권자로 인정받지 못한 전단채 피해자, 입점 소상공인, 노동자들까지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들은 MBK가 기존에 밝힌 2조5000억원 규모의 지분 전면 포기 입장을 유지해야 함을 재차 강조하며, 인수 주체는 또 다른 사모펀드가 아닌 경영 전문성을 갖춘 기업이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M&A가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단순 청산이 아닌 추가 투자를 통한 존속 경영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강준현 의원과 강민국 의원은 "요구안이 수용되지 않고 MBK가 책임을 사회에 떠넘기려 한다면 국회는 청문회를 포함한 강력한 대응 방안을 강구하고 실행할 것"이라며 "MBK가 자본시장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