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76.4% "영업이익으로 이자 감당 어려워"

김교식 기자

ntaro@alphabiz.co.kr | 2024-02-19 11:20:14

부동산 아파트 건설 관련 사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국내건설사 10개 중 7곳 이상은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 500대 건설기업(102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76.4%가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현 기준금리 수준에서 여유가 있는 기업은 17.7%에 그쳤다.

응답기업 10곳 중 4곳은 현재 자금사정이 어려우며, 올해 하반기에 자금사정이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은 10곳 중 1곳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최근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평년과 비슷(43.1%), 곤란(38.3%), 양호(18.6%) 순으로 나타나, '곤란' 응답이 '양호'의 약 2배였다.

하반기 자금사정 전망도 비슷(52.9%), 악화(33.4%), 호전(13.7%) 순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연말까지 건설업종 자금난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금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31.4%)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높은 차입 금리(24.5%), 신규계약 축소(16.7%) 순으로 응답해, 고물가와 고금리가 자금사정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업은 주로 금융기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자금조달 시 높은 대출 금리와 수수료로 인해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들은 주된 자금조달 방식으로 금융기관 차입(72.5%), 내부유보자금 활용(17.6%), 회사채 발행(4.9%) 등을 꼽았다.

자금 조달 시 최대 애로사항으로는 높은 대출금리 및 각종 수수료(75.5%), 과도한 연대보증 및 담보 요구(10.8%) 등을 지적했다.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관리를 위한 정책과제로 금리부담 및 수수료 수준 완화(39.2%), 공급망 관리를 통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16.7%),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완화(16.7%) 등을 지목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건설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며 "건설업계가 한계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금리·수수료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준공기한의 연장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