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3-03 11:21:30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미국 해군이 향후 30년 동안 매년 42조원 규모의 군함을 발주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연간 약 12척의 군함 건조를 의미하며,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미 해군 30년간 함정수 296척→381척으로 확대
최근 코트라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오는 2054년까지 30년간 함정 수를 현재 296척에서 381척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미 의회예산국은 연평균 약 300억 달러(약 42조원)의 예산을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의회는 최근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이 자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한국과 일본 등의 조선사들이 미 함정 및 해안 경비대 선박 수주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코트라 관계자는 "미국의 조선산업이 급격히 쇠퇴한 상황에서 최신 선박 기술을 보유한 한국 등 동맹국과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코트라 “美 조선·MRO 개방시 한국 조선업계 새 기회”
미 해군은 현재 전개 중인 149척의 전함에 대한 정비, 수리, 개조(MRO) 사업에 연간 60억~74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조선소 부족과 설비 노후화 등으로 인해 MRO 지연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등 한국 기업들이 지난해 7월 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며 MRO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화오션은 올해 최대 6척, HD현대는 2~3척의 MRO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코트라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미국 조선·MRO 시장이 한국에 개방되면 조선 대기업뿐 아니라 협력업체에도 혜택이 돌아가 'K-조선 생태계'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미국은 '전략적 상선 프로그램'을 통해 국적 상선을 현재 93척에서 250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연간 2억5000만 달러 규모의 금융 지원과 최대 40.5%의 투자 세액 공제 등의 인센티브가 포함되어 있어, 한국 조선업계에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