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치빌코이 콩 수확현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역대급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아르헨티나에서 올해 대두 생산량이 이번 세기 들어 최저치를 찍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각) 해외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미 농무부(USDA)가 발표한 월간 보고서에서 2022∼23년도 아르헨티나 대두 생산량을 2천700만t 규모로 예상했다.
이는 1999∼2000년도 2천120만t 생산량 이후 2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농무부는 옥수수 수확량 추정치가 3천700만t으로, 2017∼18년도 3천200만t 이후 최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한 달 전 보고서에서는 대두 3천300만t, 옥수수 4천만t보다 예측치를 더 낮게 내다봤다.
대두·옥수수 세계 5대 생산국으로 꼽히는 아르헨티나에서 작황 부진을 겪는 가장 큰 원인은 극심한 폭염에 따른 가뭄이다. 아르헨티나 산타페주 농장에 가뭄으로 폐사한 들소 (사진=연합뉴스) 올해 아르헨티나에서는 역대 최고의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만 놓고 봐도 한여름(12∼2월)에 체감온도 40도를 넘는 날이 상당 기간 지속됐다. 3월 기온만 놓고 보면 중부 지역에서는 62년 만에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언론 등에 따르면 현지 시장의 객관적 자료를 살필 수 있는 로사리오 곡물거래소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폭염과 가뭄에 따른 곡물 피해를 국내총생산(GDP)의 3%에 해당하는 190억 달러(25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아르헨티나의 이같은 어려운 상황에 세계 대두 시장이 들썩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르헨티나의 곡물 수출 감소액은 139억달러(약 18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에 더불어 주요 대두 수입국인 중국이 돼지고기 수요 증대를 위해 단백질 사료에 들어가는 콩 수입을 늘릴 수 있어서 가격 상승 압력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세자릿수 물가 상승 등 경제난에 허덕이는 아르헨티나의 '돈줄'인 곡물 생산까지 어렵게 되면서 시름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