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투입

김혜실 기자

kimhs211@alphabiz.co.kr | 2025-05-21 10:59:55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정부가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28조6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기획재정부는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 회의에서 '통상 리스크 대응 금융지원 추진 계획'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우선 관세 피해 기업에 긴급한 위기극복 자금으로 16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낮은 금리로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운영자금,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신규 수출시장 진출 기업에는 7조4000억원의 융자·보증을, 첨단사업 설비투자와 주력산업 재편에는 4조9000억원을 공급한다.
이번 정책금융 프로그램에는 추경 예산 1조5000억원과 금융기관의 자체 재원 등이 투입된다.
정부는 정책금융의 조기 집행을 위해 업계 간담회, 설명회, 유관기관 합동 홍보 등을 병행하고, 금융기관 면책 범위 확대 등을 통해 현장 실행력을 끌어올릴 예정이다. 또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청취해 추가 지원책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산업·통상환경 변화 대응 추진 경과와 향후 추진 계획'을 점검했다.
미국의 반도체·의약품 관세부과 방안이 구체화할 시 '미 관세대응 반도체·의약품 산업 대응방안'(가칭)을 신속히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석화·철강 등 업종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차례로 마련할 예정이다.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 산업·고용위기가 확산될 시 산업·고용위기지역 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해 선제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서비스 수출에는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해 최대 12조8000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작년 지원 실적 11조1000억원보다 15.9% 증가한 수준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