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 기자
ababe1978@alphabiz.co.kr | 2024-02-13 10:56:22
[알파경제=김지현·김종효 기자] 금융위원회가 보험비교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들에 자신들이 강권했던 보험협회 표준API 정책을 상당 부분 수정키로 했다.
하지만, 빅4 보험사들이 보란 듯이 비싼 요금제로 보험비교 서비스를 교란했다는 사실은 애써 무시한 채 플랫폼 사업자들의 팔만 비틀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금융위의 관치가 정부 갑질로 바뀌고 있는 양상이다.
13일 알파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금융위원회 국장급 관계자 등이 지날 달 시작된 보험비교서비스의 보험모집 중개수수료율 3%를 낮추기 위해 직접 플랫폼 사업자들을 접촉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보험비교 서비스에 대해 잘 아는 복수의 관계자들은 알파경제에 “금융위원회에서 이달 초 보험모집 수수료 3%를 1%로 내리면 보험협회 표준API를 일정 부분 플랫폼 사업자별 상황에 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위는 보험비교서비스 출범 직전부터 사이트 개발 API와 수수료 문제는 업계 자율로 정할 사항이라는 입장을 겉으로는 표명해 왔다.
실제로 보험업계와 플랫폼업계는 자율 협의를 통해 기존 보험중개수수료율 4%를 3%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금융위는 보험비교 참가 7개 플랫폼 회사가 요구했던 개별API 적용 요청을 무시하고 보험협회 표준API 일률 적용을 강제하는 등 적극적인 개입도 마다하지 않았다. <2024년 2월 12일자 [단독] 금융위 “보험 비교서비스, 망가져도 상관 없다” 발언 논란 확산 기사 참조>
최근 플랫폼을 직접 접촉한 것으로 알려진 한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보험비교 플랫폼 회사에 수수료율 인하 대신 표준API를 변경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제안 여부에 “금시초문이고 다 처음 듣는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이 금융위 관계자는 또, 플랫폼 사업자들을 모아놓은 자리에서 ‘보험비교 망가져도 상관없다’는 금융위 과장의 논란 발언에 대해서도 “담당 과장이 바깥 회의에서 무슨 얘기를 하고 다니는지 모른다”고 잘라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