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진 기자
ceo@alphabiz.co.kr | 2025-10-21 10:43:04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한국과 미국이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서의 '공동성명' 발표를 목표로 관세협상 막판 조율에 들어갔다.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 특히 현금 투자 비중이 타결의 마지막 변수로 떠올랐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협상 후 20일 귀국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양국이 (대미 투자로) 한국 외환시장에 부담을 줘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미국의 '전액 현금 투자' 요구 여부에 대해 "거기까지 갔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며 "상당 부분 미국 측에서 우리 의견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미국이 기존의 강경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 절충안을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다만 김 장관은 "필요하면 또 방미하겠다"면서도 "협상 타결 시점보다는 결과가 국익에 가장 맞는지가 우선"이라며 서두르지 않겠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는 하루 앞서 귀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쟁점이 한두 가지 남았다"고 말한 것과 비교하면 다소 신중한 태도로 풀이된다.
대규모 투자에 따른 외환시장 충격 완화 방안으로 거론되던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20일 국정감사에서 "통화스와프는 단기 유동성 목적인 만큼 장기 투자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한은은 검토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양국 협상 실무진은 주말 동안 진행된 장관급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화상회의 등을 통해 최종 타결을 위한 실무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