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 기자
ababe1978@alphabiz.co.kr | 2024-08-21 10:48:27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위메프·티몬(티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 피해 규모가 82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피해 업체를 위한 자금 지원을 1조2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위메프·티몬 사태 대응 방안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사태로 인해 현재까지 정산 기한이 넘긴 미정산 금액이 약 8188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정부가 지난 1일 추산했던 2783억 원의 약 세 배에 달하며 일반상품이 60%, 상품권이 36%, 여행상품이 4%를 차지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는 카드사와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들을 통해 일반상품과 상품권 등 359억원의 환불이 마무리됐다.
핸드폰 소액결제의 경우 PG사가 제품 미수령이 확인된 일반 물품에 대해 환불 절차를 진행중이다.
정부는 판매자들을 대상으로는 자금지원 집행을 진행 중이며 자금지원 총규모는 기존 1조 2000억원에서 1조6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이 확대됐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각각 1700억원과 1000억원을 투입해 피해 업체에 대한 대출을 진행하고 있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업은행도 3000억원을 투입해 판매자 금융 지원에 나섰다.
16개 지방자치단체는 1조원 이상의 긴급 경영안정 자금을 편성해 지역 피해 업체에 직접 대출하거나 이차 보전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7일 발표된 대책보다 약 3600억원 늘어난 규모다.
고용부는 이번 사태로 인한 대규모 실직자 지원을 위해 상황반을 운영 중이다. 고용유지지원금과 실업급여를 신속히 지원하고 대규모 임금 체불이 심각한 경우 대지급금과 생계비 융자도 실시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7일 이커머스 업체의 정산 기한 단축과 판매자금 별도 관리 의무화를 포함한 제도 개선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며 판매자 및 소비자 보호, 중소기업 부담, 업계 혁신성 제한 우려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이달 말까지 개정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