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4-10-04 10:18:36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연간 소득 전액을 빚 갚는 데 사용하는 가계대출자가 157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자는 1972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평균 연소득의 70% 이상을 부채 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대출자는 275만 명(13.9%), 연소득의 10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는 대출자는 157만 명(7.9%)이었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올해 2분기 말 452만 명으로, 2022년 2분기 말(448만 명) 대비 4만 명 증가했다.
이 중 DSR 70% 이상인 차주는 117만 명으로, 다중채무자의 25.9%를 차지했다.
통상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 이상이면 최저 생계비를 제외한 모든 소득을 빚 갚는 데 사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된다.
DSR은 대출자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채무 부담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다.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이러한 취약차주는 129만 명으로, 지난해 2분기 말(126만 명)보다 3만 명 늘어났다.
이 중 DSR 70% 이상인 차주는 47만 명으로, 전체 취약차주의 36%에 달했다.
채무 부담이 높은 대출자가 증가함에 따라 연체율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2분기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로, 2022년 2분기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3%포인트 오른 2.12%를 기록했다.
최기상 의원은 "소득이나 신용이 낮은 취약차주의 약 3분의 1은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대출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가계차주의 채무상환 부담 등을 면밀히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