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선 특파원
stockmk2020@alphabiz.co.kr | 2025-04-05 10:04:15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가져온 인플레이션과 침체 공포가 세계 금융 중심인 뉴욕 증시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4일(현지시간) 하루 동안 뉴욕 증시는 시가총액 약 3조 달러(한화 약 4500조 원)가 사라졌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4년 임기 동안 기대했던 추가 관세 수입인 2조 4000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는 손실이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 가격이 미국 내에서 최대 43%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실제 관세 부담이 외국이 아닌 수입업자가 지불하며, 이로 인해 추가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이다.
JP모건에 따르면, 트럼프 취임 후 추가된 평균 관세율은 22%에 달하며, 이는 1968년 이후 가장 큰 세금 인상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기존의 40%에서 최대 60%로 증가했다고 JP모건은 밝혔다.
아이폰은 주로 해외에서 조립되므로 높은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 가격이 상당히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최상위 모델인 1테라바이트 제품은 현재 가격인 1599달러에서 약 2300달러(약 한화 334만 원)까지 치솟을 가능성이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