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06-06 10:05:45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이재명 정부가 대선 당시 금융 공약의 정책화에 박차를 가하면서 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다.
핵심은 대출금리 산정 방식 개편을 통해 금융사의 금리 부담 전가를 막고, 배드뱅크 설립을 통해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채무 탕감을 지원하는 것이다.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특히 대출금리 개편 공약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금융사의 수익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현재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법적 비용이 포함된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 등 조정금리를 빼는 방식으로 산정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은행들이 가산금리 중 법적 비용을 차주에게 전가한다고 보고, 은행법 개정을 통해 이를 제한하겠다는 방침이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5대 은행의 평균 신규 취급액 가계대출 금리는 4.22%로 1월 이후 0.41%포인트 하락했지만, 가산금리는 같은 기간 0.07%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69%에서 74%로 상승했다.
현재 법적 비용을 가산금리에 50%까지만 반영하도록 강제하고, 위반 시 금융사 임직원에게 1년 이하 징역형을 내릴 수 있는 은행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새 정부는 해당 법안의 통과에 속도를 낼 계획이며, 제도 시행 시 은행의 세전이익은 5~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취약계층 지원 정책도 구체화되고 있다. 코로나19 당시 정책자금 대출을 받은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채무 조정부터 탕감까지 지원하는 대책이 추진된다.
정부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대한 재정 지원을 늘려 연체 채권을 소각하고, 소상공인 대상 대환대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캠코는 자영업자 대상 채무 조정 사업인 새출발기금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소득, 자산, 연체액수 등을 감안해 채무 조정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