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림
anarim89@alphabiz.co.kr | 2023-10-04 09:49:10
[알파경제=김우림 기자] 유한양행이 개발한 31호 국산 신약이자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렉라자(성분 레이저티닙)'와 얀센의 '리브리반트(RYBREVANT)' 병용 대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TAGRISSO) 비교 임상 3상인 '마리포사(MARIPOSA)' 시험에서 1차 평가지표가 충족됐다.
타그리소 대비 무진행생존율(PFS)이 개선됐고, 전체생존율(OS)이 우수하게 나타나면서 렉라자의 글로벌 상업화가 머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 렉라자+리브리반트, 1차 치료 임상 3상 결과 긍정적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존슨앤드존슨(J&J) 자회사 얀센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을 1차 치료요법으로 연구하는 임상 3상시험(마리포사‧MARIPOSA) 탑라인 결과를 공개했다.
마리포사 연구는 유한양행이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한 3세대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가 이중항암항체 리브리반트와 병용하는 요법을 1차 치료요법으로 개발하는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이다.
마리포사 탑라인 분석 결과 렉라자+아미반타맙은 1차평가지표인 무진행생존기간(PFS)이 유의미하게 개선했다. PFS는 종양 성장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는 기간이다.
2차평가지표인 전체생존기간(OS) 분석에서는 타그리소에 비해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이 치료에 유리한 경향을 보였다. OS는 치료 시작 후 사망에 이르기까지 환자가 생존한 기간을 의미하는데, 얀센은 추가적인 OS 분석을 위해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을 추적 관찰할 예정이다.
◇ 마리포사 3상 내 단독요법 간 데이터도 관전 포인트
마리포사 3상에서 렉라자와 타그리소 단독요법 간 데이터도 주요 관전 포인트다.
마리포사에는 병용 외에 레이저티닙 단독요법 실험군도 존재한다. 해당 내용은 오는 23일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공개될 것으로 추정된다.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 단독요법 글로벌 3상(LASER301)을 진행해 국내 1차 치료 승인받았다.
다만 이는 1세대 게피티닙과 비교한 임상이며 한국 포함 이머징 국가에서 실질 경쟁약은 3세대 타그리소 단독요법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