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3-02-16 09:22:01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은 공공재' 발언을 둘러싸고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정부가 은행의 과점 체제에 대해 개편을 예고하면서 논란에 불을 지필 전망이다.
◇ 과점형태 문제점 지적...경쟁체제 도입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일 윤석열 대통령은 가계 지출 영향이 큰 공공요금·에너지 요금·통신비·금융비용 등 4대 분야에 대한 긴급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금융·통신산업은 민간 부문이긴 하지만 공공재의 성격을 띠면서도 독과점 체제를 갖추고 있음을 문제로 지적했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은행과 통신산업의 실질적 경쟁시스템 강화 조치를 마련하고 그 결과를 별도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금융과 통신은 민간분야에서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나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고 정부의 특허에 의해 과점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은행 산업 과점의 폐해가 큰 만큼 실질적인 경쟁 시스템을 마련할 것을 금융위원장과 금감위원장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수석은 "예대 금리차 공시 및 대환대출 플랫폼, 예금 비교 플랫폼을 통해 기존 금융사 간의 경쟁을 강화하고, 금융과 IT 간 영업 장벽을 낮춰 유효 장벽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과제로 포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민층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선 예대마진 축소, 취약차주 보호가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은행은 수익이 좋은 시기에 충당금을 충분히 쌓고 어려운 시기에 국민과 기업에 더 많이 지원함으로써 상생금융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13일 대통령실 참모진과의 회의에서 '돈 잔치'라는 표현을 쓰며 은행권을 겨냥해 비판했다.
은행들이 금리 상승기에 예대금리차를 이용해 막대한 이자 이익을 거둬 막대한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