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GS건설, 인천 검단 아파트 재시공 비용 5000억 추정

◇설계·감리·시공 등 사업 전반 총체적 부실
◇재시공 발생 예상 비용 5000억원대 추정
◇불확실성 여전...손실 배분 가능성에 기대

김상진 기자

ceo@alphabiz.co.kr | 2023-07-06 09:19:51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GS건설이 시공하는 인천 검단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이 붕괴된 사고에 대해 GS건설은 전면 재시공을 결정했다.


사고 후 일부 언론에서 재시공 결정으로 인해 GS건설이 감당해야 할 비용을 약 1조원으로 추정 보도하고 있으나, 증권가에서는 5000억원 선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진다.

이번 재시공 결정으로 2분기 충당금 설정 가능성이 높아진 데다, 사고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라 당분간 투자 심리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 설계·감리·시공 등 사업 전반 총체적 부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가 GS건설이 시공하는 인천 검단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하주차장 공사는 첫 단계인 설계부터 잘못됐다. 구조설계상 모든 기둥 32개소에 철근(전단보강근)이 필요한데, 기둥 15개에 철근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표기했다.

감리는 설계 도면을 확인·승인하는 과정에서 이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시공 과정에서도 설계대로 시공하지 않아 철근이 추가로 빠졌다.

추가로 사고 부위의 콘크리트 강도까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부위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을 한 결과 설계 기준 강도(24MPa)보다 30% 낮은 16.9MPa로 측정됐다.

지하주차장 위로 식재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설계보다 토사를 더 많이 쌓으며 하중이 더해진 것도 원인이 됐다.

사고조사위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적용된 무량판 구조의 심의 절차를 강화하고, 현장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자료= HDC현대산업개발, 언론종합, KB증권

 


◇ 재시공 발생 예상 비용 5000억원대 추정

조사 결과 발표 이후 GS건설은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인천 검단 현장 17개동에 대한 전면 재시공 의사를 밝히고 입주 지연에 따른 모든 보상을 약속했다 .

사고 후 일부 언론에서 재시공 결정으로 인해 GS건설이 감당해야 할 비용을 약 1조원으로 추정 보도했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재시공 관련 비용을 정확히 산출하는 것은 쉽지않으나 언론에서 보도되는 1조원은 다소 높다"며 "손실비용 2800억원이 명확하지 않고, 과거 HDC현대산업의 광주 화정 프로젝트 재시공 결정으로 인한 충당금 설정 규모와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DC현대산업 광주 화정 프로젝트 사례에선 기존 사업금액 2735억원, 재시공 손실 충당금 3377억원이 반영됐다.

KB증권은 인천 검단 프로젝트의 경우 약 5000억원 가량의 재시공 손실 충당금을 추정했다.

장 연구원은 "인천 검단 프로젝트의 경우 광주 화정 프로젝트 대비 세대수가 많다는 점, 최근 공사비 인상 폭이 가팔랐다는 점에서 광주 화정 케이스 보다 재시공 비용 상승률이 높을 수 있다"면서도 "고층 주상복합건물인 광주 화정 프로젝트 대비해서 가구당 분양가가 낮고 구조 특성 상 상대적으로 철거 및 재시공 난이도가 낮다는 점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투자증권도 인천 검단 아파트 전면 재시공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예상 비용의 추정치는 5400억원 수준으로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재시공비 3200억원, 철거비용 780억원, 입주지연보상금 1560억원 등을 고려했다.  

인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 불확실성 여전...손실 배분 가능성에 기대

국토부는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이후 GS건설의 83개 현장에 대한 확인 점검을 추진 중이다. GS건설에 대한 처분은 8월 중순경 발표할 예정이다.

GS 건설이 전면 재시공 결정을 내린 것은 '자이' 브랜드 가치 실추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예정되어 있는 국토교통부의 처분과 GS 건설이 공사 중인 83곳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특별 점검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GS건설이 전면 재시공을 결정하며 해당 사고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으나, 아직 불확실성이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다"라며 "국토교통부의 처분, 구체적인 전면 재시공 관련 비용, 해당 비용에 대한 배분 문제 등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이 시공사만의 문제가 아닌 설계, 감리 전 부문에 걸친 문제라 비용을 배분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배 연구원은 "시공사가 GS 건설 40%, 동부건설 30%, 대보건설 30%로 컨소시엄 형태기 때문에 해당 비용은 LH 및 컨소시엄 건설사들과 배분할 여지도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장 연구원은 "그러나 전체 공사를 GS건설이 주도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컨소시엄과 손실 분담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최종적인 충당금 규모는 발주청인 LH의 손실 부담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