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 부동산 부실 2.64조…"손실 확대 가능성 커"

김교식 기자

ntaro@alphabiz.co.kr | 2025-04-04 09:22:52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가 2조6400억원으로 확대됐다.

금융감독원이 4일 공개한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에 따르면 작년 9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7182조7000억원)의 0.8% 수준이다.

금융권별로는 보험사들의 투자 잔액이 30조4000억원(54.3%)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5%), 여신전문금융사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1000억원(61.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유럽 10조8000억원(19.4%), 아시아 3조8000억원(6.8%), 기타 및 복수지역 7조1000억원(12.7%) 순이었다.

올해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가 12조원(21.5%)에 달했다. 2030년까지는 전체의 76.2%인 42조5000억원의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다.

특히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000억원 중 2조6400억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이는 전 분기보다 400억원 증가한 수치다. EOD 규모는 지난해 1분기 2조5000억원, 2분기 2조6100억원, 3분기 2조6400억원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나 원금 미지급, 담보 가치 부족 등으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다만, EOD가 발생했다고 투자금 전액을 손실 보는 것은 아니다. 투자자 간 대출 조건 조정, 만기 연장 등으로 해결할 수 있고, 자산 매각 시 배분 순위에 따라 투자금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가능성도 있다.

금감원은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오피스 시장은 유연근무 확산 등 구조적 요인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데이터 분석회사 그린스트리트가 집계한 미국 상업용부동산 가격지수(CPPI)는 2022년 155.0으로 고점을 기록한 후 2023년 121.5로 급락했고, 지난해 3분기 125.5로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지만,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특이 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저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고 적정 손실 인식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금융회사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 확보 아래 해외 대체투자가 이루어지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